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olldown
- ffi-napi
- Recoil
- adb pair
- github pdf
- npm package
- device in use
- ELECTRON
- github lfs
- dvh
- adb connect
- 이미지 데이터 타입
- github 100mb
- react-native-dotenv
- vercel git lfs
- animation
- Can't resolve
- 티스토리 성능
- Each child in a list should have a unique "key" prop.
- augmentedDevice
- react-native
- camera access
- Failed to compiled
- silent printing
- camera permission
- electron-packager
- html
- Git
- custom printing
- nextj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44)
Bleeding edge
응용된 사칙연산 문제 (예시, + * - /의 우선순위를 바꾼문제)에서는 사용할 수 없지만, 일반적인 텍스트 사칙연산 string에 사용하면 편한 기능이다. 이전에 검색해봤던 기능인데, 막상 문제에서 만나서 사용해보니 편해서 메모로 남긴다. str = '1+2+3/4' cal = eval(str) 과같이 사용할 수 있다. MDN에 주의: 문자열로부터 eval()을 실행하는 것은 엄청나게 위험합니다. eval()을 사용하면 해커가 위험한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eval을 절대 사용하지 말 것!을 확인하세요. 와같은 주의 사항이 있으니, 코딩테스트에서만 기억할 것!
프로그래머스 2단계 문제풀이를 시작했다.. 자주 느끼는게, while문을 쓰다보면 자꾸 무한 loop가 생겨서 for문에서 increment를 제외하고 if 조건을 달성한경우 increment를 더하는 경우를 많이 사용했었다.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3 코딩테스트 연습 - 큰 수 만들기 programmers.co.kr 오늘 위의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면서 생각하게된건, while문의 정지조건을 어떤 것을 기준으로 설정할 것인가? 글중에 한개를, 다시풀어볼 문제들!하고서 다시풀 문제들을 모아봐야겠다
최대공약수 Greatest Common Divder 최소공배수 Least Common Multiple 소수, 순열 조합 그리고 많이 나오는게 최대공약수 이친구인거같다.. 수학으로 풀때는 참 쉬웠는데 자바스크립트로 시간을 재고 빨리 해야지!하면 허둥지둥하니 자주 체크하는 함수로 만들어야겠다. function solution(num1, num2) { const gcd = (a, b) => a % b === 0 ? b : gcd(b, a % b); const lcm = (a, b) => a * b / gcd(a, b); return [gcd(num1, num2), lcm(num1, num2)];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73 코딩테스트 연습 - 짝지어 제거하기 짝지어 제거하기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먼저 문자열에서 같은 알파벳이 2개 붙어 있는 짝을 찾습니다. 그다음, 그 둘을 제거한 뒤, 앞뒤로 문자열을 이어 붙 programmers.co.kr function solution(s){ let arr = [] for(i=0;i
가끔 다른걸 보고 싶을 때는.. Codepen에 들가서 남들이 만든걸 보는데 정말 창의력 뿜뿜 대장들이 너무 많고 어떻게 만들었나 싶은 것들이 많다. 나중에 나도 하나 올릴만한걸 만들어보고 싶다 +ㅅ+ 아 포트폴리오용이아닌 재미용!
코딩테스트를 하다가.. n번째 문자열끼리의 순서대로 정렬을 하라! 라는 문제를 보고 array.sort((a,b) => a[n] - b[n]) 과 같이 작성했었는데.. 역시 X 그래서 이걸 어떻게 풀까하고 검색을 해봤었는데, charCodeAt 일명 at 뒤에 올 것에 대한 글자코드~ 사용법 string.charCodeAt(index)를 입력하면 string에 있는 index의 char code가 나온다 다단! array.sort((a,b) => a.charCodeAt(n) - b.charCodeAt(n)) 나중에 기억 안날때쯤 다시 풀어봐야겠다.
둘의 function을 간단하게 적을 것이다. 둘의 결과값에 대한 차이는, 순서의 유무로 갈린다. 순열은, per- mutate 즉, 아주 작은 부분만 변하기만해도 순열이라 친다 즉, 구성원이 같아도 순서가 살짝다르면 다른것으로 친다. 조합은 말그대로 구성원의 조합이 중요한거지, 순서와는 전혀 무관한 친구다. function의 플로우 차트를 이야기하자. 1. 순열과 조합을 만들 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a. 숫자 모음(array), b. 몇 개를 뽑을 것인가 (num) 2. Boundary condition은? a. num이 1개일 때는, 본인은 본인이다 3. 그 다음으로 배치 해야할 것들? a. array를 forEach로 각 요소마다 recursive하게, 순열과 조합 행렬을 다시 실행시킨다. 단,..
본인의 이전의 수를 일일이 나눠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오래 걸리니,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활용한. (여러번봐도 이름이 어려우니 그냥 소수의 체라고 기억을 하고있...습니다) 방법을 서술하겠습니다. 1. 우선, 소수의 Boundary condition에 해당하는 1에 대한 값 (0부터는 자연수가 아니라 흠흠..) 2. 그리고 2의 배수에 관한 값 3. 나머지는 3부터 주어진 숫자의 루트값이 전에 대한 값들. const isPrime = num => { //Boundary Condition(1) if (num===1) return false; if (num%2===0) return num===2? true : false; let sqrt = parseInt(Math.sqrt(num)); for(i=3;i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은 문자열에서 특정 내용을 찾거나 대체 또는 발췌하는데 사용한다. 가입하는 form에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메일을 받는다던가... 가입주소를 받는다거나... 비밀번호 조건을 체크할 때 사용한다. 사실, 이 정규식에 대해서 찾아보게 된 계기는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다가 정규식을 7번정도 써야하는 문제가 있어서 공부하게 된건데.. 다른 짝지어 제거하기와 같은 문제에도 사용할 수 있을까하고 이리저리 시도를 하면서 시간을 날려먹었다. 정규식 사용법! 시작은 / 끝은, flag!로 flag는 g(전체 문자 일치) i(대소문자 무시하고 일치) m(여러줄일치)로 사용한다 사용하다보면, 보통 g를 많이 사용하니 g를 사용하면서, 정규식을 알아보자! /{중간내용}/g 이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