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eding edge

유무선 네트워크 본딩 설정 방법 (Bonding) 본문

CS

유무선 네트워크 본딩 설정 방법 (Bonding)

codevil 2025. 2. 25. 09:15

네트워크 본딩(Network Bonding)이란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로 묶어 트래픽을 공유하거나 백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고, 특정 인터페이스가 다운되더라도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 같은 경우에는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하고 유선으로는 로봇을 연결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선(eno2)과 무선(wlo1) 네트워크를 본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 수정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을 엽니다.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이 열리면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

auto bond0
iface bond0 inet dhcp
    bond-mode 1
    bond-miimon 100
    bond-primary wlo1
    bond-slaves wlo1 eno2

설명

  • bond0 : 본딩 인터페이스의 이름입니다.
  • iface bond0 inet dhcp : bond0 인터페이스를 DHCP 모드로 설정합니다.
  • bond-mode 1 : 액티브-백업(Active-Backup) 모드를 설정합니다. 하나의 인터페이스가 주 네트워크 역할을 하고, 장애 발생 시 백업 인터페이스로 자동 전환됩니다.
  • bond-miimon 100 : 100ms마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bond-primary wlo1 : wlo1(무선 네트워크)을 기본(primary) 인터페이스로 설정합니다.
  • bond-slaves wlo1 eno2 : wlo1(무선)과 eno2(유선)를 본딩 인터페이스에 포함시킵니다.

 

2. 네트워크 매니저 재시작

설정 적용을 위해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3. 설정 확인

설정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ip a show bond0

또는

cat /proc/net/bonding/bond0

 

출력 결과에 bond0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추가되고, bond-slaves 항목에 wlo1과 eno2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4. 네트워크 본딩을 사용할 때의 장점

  • 네트워크 장애 대비: 한 인터페이스가 다운되더라도 다른 인터페이스가 자동으로 연결을 유지합니다.
  • 유무선 자동 전환: 유선과 무선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특정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로드 밸런싱(모드에 따라 가능): 일부 모드를 사용하면 트래픽을 분산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유무선 네트워크를 하나의 본딩 인터페이스로 설정하여 보다 안정적인 연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