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eeding edge

2022/09/05 - TIL 본문

ConnecTo

2022/09/05 - TIL

codevil 2022. 9. 5. 19:48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1. 다독

가독성 좋은 코드를 작성하려면, 좋은 코드를 많이 봐야한다. 안좋은 코드를 본다 할지라도 반면교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나쁜 코드를 보는것도 좋다.

  1. 변수명 잘 짓기

함수는 명령형, 동사를 이용하여 짓는다

변수 boolean는, isXX와 같이 짓는다.

일반 적인 변수는 명사로 짓는다

만일, 함수이름을 짓기 어렵다면, 함수에 기능이 많거나 함수를 잘못생각한 것이다.

  1. 속도보다는 가독성

빈칸을 아끼는 것은 이미, 나중에 업로드 전에 줄여지는 과정을 하기에 빈칸을 아끼는 것이 좋다.

변수명이 길다고할지라도, 이도 글자수를 줄이는 과정을 나중에 가지니일단은 가독성을 줄일 수 있다

속도를 챙기는 것은 체감이 덜되니, 득보다 실이 많다는 것을 기억하자.


오늘 코드를 짤때 얻었던 팁 :

1. get, create, generate의 차이

  1. get은 프로퍼티를 가져올 때 사용한다
  2. create는 새로운 것을 만들 때 사용한다
  3. generate는 키나, id와 같이 무언갈 생성할 때 사용한다

2. Math.max

Math.max(..todos.map(todo=>todos.id), 0)

Object in Array를 이런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생각을 못했었다.

3. Object in properties

content가

function addTodo (content){
	const newTodo = {id:generateNextTodo(), content, complete:false}
}

프로퍼티의 키와 파라미터가 같다면 추가적인 내용을 쓰지 않아도 된다.


모델은 자료구조와 자료구조를 핸들링하는 함수들의 조합이다.

→ 이벤트 헨들러는 비순수 함수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으로 순수 함수를 지향한다.

→ 이벤트 헨들러는 복잡하기에, 기능을 철저히 MVC와 같이 하나씩 분리하는게 좋다

get vs fetch

get은 프로퍼티를 가져오고, fetch는 비동기에서 자주 사용한다

State는 변화하는 데이터로서, 렌더링에 영향을 주는 데이터를 말한다

'Connec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9/07 - TIL  (0) 2022.09.07
2022/09/06 - TIL  (0) 2022.09.06
2022/09/02 - TIL  (1) 2022.09.02
2022/09/01 - TIL  (0) 2022.09.01
2022/08/31 - TIL  (0)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