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tml
- nextjs
- Git
- camera access
- react-native-dotenv
- react-native
- 이미지 데이터 타입
- 티스토리 성능
- github lfs
- Recoil
- augmentedDevice
- rolldown
- Failed to compiled
- dvh
- custom printing
- ELECTRON
- electron-packager
- github pdf
- npm package
- github 100mb
- device in use
- animation
- camera permission
- vercel git lfs
- silent printing
- Can't resolve
- adb connect
- adb pair
- ffi-napi
- Each child in a list should have a unique "key" prop.
- Today
- Total
Bleeding edge
[프로그래머스] 멀리뛰기 - 자바스크립트 본문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14#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것을 알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다. 1부터 5까지의 케이스를 나타내보겠다.
1(1)
11(2)
2(2)
111(2+1)
12(1+2)
21(2+1)
1111(3+1)
112(2+2)
121(3+1)
211(3+1)
22(2+2)
11111(4+1)
1112(3+1)
1121(4+1)
1211(4+1)
2111(4+1)
122(3+2)
212(3+2)
221(4+1)
괄호를 쳐서 표현한 것은, n에 있는 것들은 n-2의 값과 n-1에 각각 1과 2를 붙여서 만든 값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dp를 이용하여 list에 저장하여 푸는 것이 더 빠르기 때문에 list를 만들어서 풀이를 하겠다.
1. 편하게 계산을 하기 위해, n+1의 길이인 array에 0을 넣는다, n+1을 사용하는 이유는 list(n)은 n에 관련된 값으로 index-1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이다.
const list = Array.from({length:n+1}).fill(0)
2. 1일 때는 1, 2일 때는 2이다
list[1]=1
list[2]=2
3. 피보나치 수열을 array에 저장을 한다. 그리고 1마다 증가하며 계속 진행한다
function pibo(number){
list[number] = list[number-1]%1234567+list[number-2]%1234567
if(number<n){
pibo(number+1)
}
}
4. 피보나치 수열 함수를 3일 때 실행한다. 사실 3 이상부터라는 조건을 붙여도되지만.. 클린하기 위해.. 그냥 사용했다
5. list[n]을 조건에 맞게 1234567의 나머지로 나누고 return 한다
전체풀이
function solution(n) {
const list = Array.from({length:n+1}).fill(0)
list[1]=1
list[2]=2
function pibo(number){
list[number] = list[number-1]%1234567+list[number-2]%1234567
if(number<n){
pibo(number+1)
}
}
pibo(3)
return list[n]%1234567
}
'코딩테스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 구하기 (0) | 2024.07.08 |
---|---|
[프로그래머스] 크레인 인형뽑기 - 자바스크립트 (0) | 2022.07.21 |
[프로그래머스] 키패드 누르기 - 자바스크립트 (0) | 2022.07.18 |
[프로그래머스] 신고 결과 받기 - 자바스크립트 (0) | 2022.07.18 |
최소공배수와 최대공약수에 관해서 (0) | 2022.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