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necTo
2022/09/27 - TIL
codevil
2022. 9. 27. 19:30
오늘 Pair Programming에서 배운 것
- 문서에 link를 동적으로 붙이는 방법
document.head.insertAdjacentHTML('where', 'html string')
이 방법이 아닌 createElement를 이용하여 link를 다른곳에 append를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면 3~4줄정도를 써야하지만 위의 방법을 이용하면 한줄이면 원하는 장소에 붙일 수 있다.
- at
Array.prototype.at(n)
대괄호로 Array를 접근하는 것과 비슷한거 같다고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at을 사용하면 음수를 이용하여 뒤에서 값을 접근할 수 있다.
- Array.from
Array from을 사용하는 방법은 보통 Object인 자료를 Array로 변환할 때 많이 사용하였다. 오늘 캘린더를 구현하면서 Array.from에 대한 새로운(전에는 배웠지만 기억이 안났다) 사용 방법이 있었다. 바로 두번째 파라미터에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Array.from({length: 5}, (v, i) => i);
map이나 forEach에서와 같이 i 는 inde를 의미하며 i는 생략가능하다.
- mouseleave, mouseout
단어를 읽었을 때는 마우스가 해당 element에서 벗어났을 때를 의미하기 때문에 둘다 역활이나 기능이 같을 꺼 같지만(역활은 구분 안하면서 사용하면 같게 사용할 수 있다), 다르다. mouseleave같은경우 캡쳐링이 안일어나기 떄문에 본인에게만 영향이 있습니다 mouseout같은 경우는 캡쳐링이 일어나며 자식에 이벤트가 일어나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mouseenter, mouseover
4번에서의 차이처럼 둘다 캡처링 차이만 있다. mouseenter같은 경우에는 본인만 적용되고 mouseover은 자식 까지 적용된다. (o로 시작되는 것들만 자식에 적용이되는 우연이..!)